카테고리 없음

왜 쓰는가?

idlemoon 2007. 2. 20. 01:33

"[Elizabeth] Bishop writes that what we want from great art is the same thing necessary for its creation, and that is a self-forgetful, perfectly useless concentration. We write, Bishop implies, for the same reason we read or look at paintings or listen to music: for the total immersion of the experience, the narrowing and intensification of focus to the right here, right now, the deep joy of bringing the entire soul to bear upon a single act of concentration. It is self-forgetful even if you are writing about the self, because you yourself have disappeared into the pleasure of making; your identity has been obliterated by the rapture of complete attentiveness. In that extended moment, opposites cohere: the mind feels and the heart thinks, and receptivity's a form of fierce activity. Quotidian distinctions between mind and body, self and other, space and time, dissolve. Athletes know all about this nearly hallucinatory state. They call it being in the zone. They feel simultaneously out of body and at one with body."

                                                                                ?Alan Shapiro, "Why Write?"
 
엘리자베스 비숍(미국 시인)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위대한 예술작품에서 (감상할 때) 바라는 것은 그것을 (작품을) 창조할 때 필요한 것과 같은 것으로서, 그건 자신을 잊는, 완전히 무목적적인 집중이다. 비숍의 말을 뒤집으면, 우리는 글을 읽거나 그림을 보거나 음악을 듣는 것과 같은 이유로 글을 쓴다. 전적인 몰입, 바로 지금, 바로 여기에의 강렬한 집중, 온 혼을 한 가지 행위에 바치는 데서 오는 심대한 즐거움. 그것은 자기를 잊는 것이며, 자신에 관해 글을 쓰고 있다고 해도 그렇다, 왜냐하면 당신 자신은 창조의 즐거움 속으로 사라졌기 때문이다... 그러한 순간에는 서로 반대되는 것들이 응집한다: 정신이 느끼고 마음이 생각한다, 그리고 (수동적) 감수성은 격렬한 활동의 한 형태가 된다. 정신과 육체, 나와 남, 공간과 시간 사이의 일상적 구분은 사라진다. 운동선수들은 이러한 환각에 가까운 상태에 대해 잘 알고 있다. 그들은 그것을 'the zone'에 빠진다고 말한다. 그들은 동시에 몸을 빠져나가고 몸과 하나가 된다.


블로그의 잡글을 쓰는 것도 해당이 될까요.. Alan Shapiro는 전에 "My tears see more than my eyes"를 쓴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