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ver brought down 그 강은
dead horses, dead men 죽은 말들과, 죽은 남자들과
and military debris, 전투장비 잔해들을 흘려보냈다
indicative of war 상류에서 전쟁이 있었거나
or official acts upstream, 어떤 공식적인 행위가 있었을 것이다
but it went by, it all 그러나 그건 지나갔다
goes by, that is the thing 강이란 원래 그런 거다
about the river. Then 모든 것이 지나간다
a soldier on a log 그때 한 병사가 통나무를 타고
went by. He seemed drunk 떠내려왔다. 그는 취한 것 같았다
and we asked him Why 우리는 그에게
had he and this junk 왜 그와
come down to us so 잔해들이 전에 상류에서
from the past upstream. 내려왔는지 물었다
“Friends,” he said, “the great 그는 말했다, "친구들이여,
Battle of Granicus 그라니코스 대전투가
has just been won 방금
by all of the Greeks except '모든 그리스인들'의 승리로 끝났소
the Lacedaemonians and 스파르타인들과 나만 제외하고 말이오:
myself: this is a joke 이건 나와
between me and a man 알렉산더라는 사람 사이의 농담이오
named Alexander, whom 그 사람에 대해
all of you ba bas 당신들 야..인들은
will hear of as a god.” 신(神)이란 소문을 듣게 될 거요.
-- Alan Dugan
'공식적 행위'라고 한 건 이런 대규모 살상은 국가 권력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라니코스 전투는 알렉산더의 첫 주요 전투였다. 상대는 페르시아군이었고 그리스인 용병도 상당수 있었다. 희생자는 마케도니아(알렉산더)쪽이 ~400명, 페르시아쪽이 ~5000명이었다고 한다. 페르시아쪽 희생자의 대부분은 패퇴하여 달아나다 죽임을 당했다. 승리 후 알렉산더는 페르시아군의 갑옷 300개를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에 보내 지혜와 전쟁의 여신 아테나에게 공물로 바쳤다. 그는 간단한 메시지도 함께 보냈는데 그 내용이 이랬다: "필립의 아들이며, 스파르타를 제외한 그리스의 아들인 알렉산더(가), 아시아에 사는 야만인들로부터 (획득하였다)."
마케도니아는 당시 그리스에 속했다고 할 수는 있지만 중심부는 아니었다. 알렉산더의 아버지 필립은 남쪽의 도시국가들에 계속 간섭을 했고 그라니코스 전투 4년 전에는 아테네+테베 연합군을 패배시키고 그리스 중심부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게 되었다.
위 시의 '떠내려온 병사'는 페르시아쪽에 가담한 그리스 용병일 것이다. 용병이니까 돈이 주목적이긴 하겠지만 알렉산더를 좋아하는데 그러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게 거부하는 세력이 있음에도 알렉산더는 (스파르타를 제외한 모든) 그리스를 대표한다는 명분을 내세운 것이다. 그리고 그 병사가 '나는 제외하고'라고 말한 건 그리스인 중 정말로 나만 그를 거부한다는 뜻이 아니라 적어도 나 자신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말할 수 있다는 뜻일 것이다. 다시 말해, 대왕님이 '모든 그리스인'이라고 하니까 그런 모양이지, 하지만 난 아니다라는 것이다.
'ba bas'는 'barbarians'라고 하려다 대화 상대를 야만인이라고 할 수 없으니 얼버무린 걸로 보인다. '취한' 것도 이유일 수 있다. 그라니코스 강은 현 터키의 서쪽에 위치한다.
시의 제목은 '우리가 그 이름을 듣게 된 과정'이라고 번역할 수 있겠는데, 역사적 인물들 특히 영웅이라 불리는 사람의 다수는 우리는 시체를 통해 알게 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gust (2) | 2019.08.21 |
---|---|
하지 (2) | 2019.06.23 |
April comes like an idiot (0) | 2019.04.08 |
Fountain (0) | 2018.11.22 |
Providence (0) | 201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