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에 대해 찾아보다가 영어의 adverse selection이란 용어가 '역선택'으로 번역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그런데 이 용어에 대한 설명들이 이해하기 힘들었다. 내 나름대로 설명을 해보겠다. adverse selection은 시장 참여자들이 가진 정보량이 상이할 때 생기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중고차 거래에서 판매자는 차의 결점에 대해 잘 아는데 구매자는 모를 수 있다. 그래서 판매자는 차의 상태를 속이고 정상가보다 비싸게 팔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상태가 계속될 수 없다는 것이다. 시간이 갈수록 속은 걸 깨달은 구매자들이 거래를 피하게 된다. 그러면 판매자는 중고차 가격을 내리게 되고 그러면 이번에는 상태 좋은 중고차를 내놓는 사람이 없어지게 된다. (판매자가 이건 '진짜로' 좋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