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01

빈 라덴의 암살

일반적으로, 미국이 어떤 폭력을 사용한 것으로 인해 국민이 환호하고 국가적 자존심을 높이고 지도자를 중심으로 뭉칠 때마다, 추가적인 폭력은 보장된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10년 가까이 지속된 헛된 전쟁이 전쟁을 향한 국가적 열의를 일시적으로 약화시킬지 모른다. 그러나 오사마 빈 라덴의 머리에 박은 두 발의 총탄과 그것이 불러일으킨 "우리는 위대하고 선하다"는 선언은 쉽게 그 전쟁 사랑을 회복시킬 수 있다. 파키스탄에 대한 논의에서 벌써 그 악취를 감지 할 수 있다: 파키스탄이 빈 라덴을 숨겨줘 왔던 것 같은데 그렇다면 그들은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하는가? 우리는 다시 기분이 좋아지고 자신감이 생기고 도덕적 우월감을 느낀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종종 공격행위를 더 적게가 아니라 더 많이 낳는다. -- ..

카테고리 없음 2011.05.06

전주 2011

Nader and Simin, A Separation 이란판 법정 드라마. 스토리가 상당히 영리하지만 우연적 요소들이 지나치다. Essential Killing 영화제에 나온 영화로서는 수준 이하. Exit Through the Gift Shop 이번 전주에서 본 영화 중 가장 재미있었다. 뱅크시를 포함한 '거리 미술가'들에 대한 다큐 이면서, 동시에 그들의 동영상을 촬영한 티에리 게타라는 사람에 대한 다큐이다. 나로선 이 게타라는 인물이 더 흥미 있었다. 말 그대로 '카메라를 든 남자'라고 할 만하다. 늘 카메라를 가지고 다니며 사람들을 촬영했는데, 영화나 다큐에 특별히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다. 그냥 촬영(혹은 기록) 그 자체에 대한 광적인 집착이다. 이 영화는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제공한다. 어릴 때 ..

영화 2011.05.03

Findings

피실험자에게 딱딱한 공을 꽉 쥐라고 하고 중성적인(androgynous) 얼굴 그림을 보여주면 남자의 얼굴로 인식하는 반면, 부드러운 공을 꽉 쥐라고 하고 같은 그림을 보여주면 여자의 얼굴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답을 쎄게 눌러서 써라고 하면 남자로 인식하고(즉 남자라고 답하고) 약하게 눌러서 써라고 하면 여자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남자의 성적 흥분이 여자의 눈물 냄새에 의해 약화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눈물을 흘리는 걸 보거나, 냄새를 맡을 때 눈물임을 알고 있었던 것이 물론 아니다. 그냥 냄새를 맡아보라고 하였고 대답은 "아무 냄새도 없다"였다. 여자의 뺨을 흘러내린 소금물로 비교 실험했을 때는 성적 흥분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기.) 부정부패와 지진에 의한..

카테고리 없음 2011.04.26

April

The optimists among us 우리들 중 낙관적인 사람들은 taking heart because it is spring 봄의 기운을 얻어 skip along 뛰어다닌다 attending their meetings 회합에 참여하고 signing their e-mail petitions 이메일 탄원서에 서명을 하고 marching with their satiric signs 풍자적인 팻말을 들고 행진하고 singing their we shall overcome songs "승리하리라" 노래도 부르고 posting their pungent twitters and blogs 트위터와 블로그에 신랄한 포스팅도 한다 believing in a better world 그저 for no good reason..

2011.04.19

Questions

All Souls College는 옥스포드 컬리지의 하나로서 대학원만 있다. 매년 옥스포드 졸업생을 대상으로 시험을 봐서 0~3명에게 Fellowship을 수여한다. 이틀에 걸쳐 3시간짜리 시험을 네 번 보는데, 두 번은 응시자가 선택한 주제이고, 두 번은 일반 주제이다. 일반 주제 시험 에선 제시된 문제 중에 응시자가 3개를 선택해서 답한다. 아래는 지난 5년 동안 일반 주제 문제로 나왔던 것들 중의 일부다. 올소울즈 컬리지의 시험은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시험" 이라고들 말한다. ---------------------------------------------------------- What is war good for? 전쟁은 무엇에 도움이 되는가? From where does a sense of ..

카테고리 없음 2011.04.11

KAIST

2007년부터 성적 나쁜 학생에게 "등록금"을 내게 했단다. 정말 해괴한 일이다. 공부를 못하면 낙제나 제적을 시키면 될 것 아닌가... "너 잘하니까 돈 줄게"가 아니라 "너 못하니까 돈 내"?? 세상에 그런 교육제도가 어디 있단 말인가. 탈락시키는 것보다는 돈을 내게 하는 게 덜 잔인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일까. 그건 '대학졸업'이 우리나라처럼 중요한 데선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그러나 KAIST는 일반 대학이 아니라 특수 목적으로 국가에서 만든 학교다. KAIST에 다니다 중도탈락한다고 - 불명예는 좀 되겠지만 - 장래에 심각한 문제가 되진 않을 것이다. KAIST에 입학할 정도의 실력이면 다른 대학에 들어가 잘 졸업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의 문제의 하나는 입학은 어려운데 졸업은 쉽다는..

카테고리 없음 2011.04.09

Bloodlands

작년에 출간된 이란 책의 서평에서 발췌. 책의 저자는 Timothy Snyder. 서평(Haper's 2월호)의 저자는 Adam Hochschild. 여기서 'Bloodlands'는 지금의 폴란드, 벨로루시(Belarus), 우크라이나, 발틱 3국, 그리고 러시아의 한 좁은 부분을 의미한다. ------------------------------------------------------------ 2차대전의 전투에 의한 희생을 제외하고 1930년대와 1940년대의 대량 살상에 대해 말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있다: 소련의 공개재판, 아우슈비츠의 굴뚝에서 피는 연기. 그러나 이 두 질문에 대답해보라: 그 잔혹했던 20년 동안, 어느 나라가 국민의 절반이 죽임을 당하 거나 추방되었는가? 그리고 어떤 그룹의..

카테고리 없음 2011.04.05

Camera Obscura

Light Bulb, 1991 View of the Manhattan Bridge-April 30th / Afternoon, 2010 아래 사진은 실내에 창문을 다 막고 렌즈 구멍만 내어 반대편 벽에 생긴 이미지를 촬영한 것이다. (위 첫 사진의 상자 안에서 뒤쪽 면 - 전구의 상이 생긴 면 - 을 촬영한 것과 같다.) 상이 거꾸로이지 않은 건 프리즘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다시 뒤집었기 때문이다.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사진(필름)을 벽에 투사한 것과 뭐가 다른가 생각할 수 있겠다. 가장 큰 차이는 실시간이란 점이겠다. 방 안의 상황과 벽에 투사된 실외 상황이 '동시'인 것이다. 사실, 카메라 옵스큐라 방식을 쓰지 않고도 실시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실외에 디지털 카메라를 설치하고 거기서 생긴 이미지를 전..

카테고리 없음 2011.04.01